스터디

Study/이펙티브 자바

[Effective Java] 공개된 API 요소에는 항상 문서화 주석을 작성하라

💥 개요 API를 작성함에 있어서 잘 작성된 문서는 중요하다. 공식 언어 명세에는 없지만 자바 프로그래머라면 알아야하는 업계 표준 API라 할 수 있다. 자바에서는 이 귀찮은 작업을 자바독이라는 유틸리티가 도와준다. https://www.oracle.com/technical-resources/articles/java/javadoc-tool.html How to Write Doc Comments for the Javadoc Tool Javadoc Home Page This document describes the style guide, tag and image conventions we use in documentation comments for Java programs written at Java Sof..

Study/우아한 테크 코스

MVC 패턴, 우아한 테코톡 내용 총 정리

MVC패턴 왜 쓰는 걸까? 우테코를 진행하면서, mvc 패턴에 대해서 막연히, 추상적으로 알고 있었던 부분에 대해서 우아한 테코톡을 보며 mvc의 대한 발표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개인적으로 영상을 보면서 1시간 이내의 짧은 시간으로 많은 부분에 대한 확신을 얻어갔던 것 같다. 제리 발표 내용 정리 1.Model 내부에 Controller와 View에 관련된 코드가 있으면 안된다. 2.View 내부에 Model의 코드만 있을 수 있고 Controller 코드가 있으면 안된다. 3.View가 Model로부터 데이터를 받을때는 사용자마다 다르게 보어주어야 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만 받아야 한다. 4.Controller는 model과 View에 의존해도 된다. 5.View가 Model로부터 데이터를 받을 때, 반드..

Study/이펙티브 자바

[Effective Java 3E] 생성자 대신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고려하라

💥 개요 보통 개발시 public 생성자를 자주 사용하는데, 이펙티브 자바에서 조슈아 형님이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사용하면 아주 행복한 상황들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아래에서 계속 얘기해 볼 텐데 정적 팩터리 메서드는 그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반환하는 생성자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단순 static method를 제공하는 것을 정적 팩터리 메서드라고 합니다. ❤️ 장점 1.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단순한 생성자를 생각해보면, 생성자를 넘기는 매개변수와 생성자 자체만으로 반환되는 객체의 특성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정적 팩터리는 이름만 잘 지어주게 된다면 특성을 제대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클이언트는 컴퓨터를 얻고 싶다면 compuer를 얻는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호출하면 되고, 책을 얻..

mntdev
'스터디'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