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한

Languege/Java & Spring

[김영한 스프링] 빈 스코프

빈 스코프란? 기본적으로 스프링 빈은 스프링 빈이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함께 생성되어서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될때 까지 유지되는데, 이것은 스프링 빈이 싱글톤 스코프로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다른 생명주기를 가진 스코프는 어떤게 있을까요? 싱글톤: 기본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 프로토타입 : 스프링 컨테이너가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짧은 범위의 스코프 request : 웹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session : 웹 세션이 생성되고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application : 웹의 서블릿 컨텍스트와 같은 범위로 유지되는 스코프 싱글톤으로 생성된 빈은 스프링 DI ..

Languege/Java & Spring

[김영한 스프링] 싱글톤 컨테이너

웹 애플리케이션과 싱글톤 웹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여러 고객이 동시에 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 스프링이 없는 순수한 DI 컨테이너에 memberService를 클라이언트 A,B,C가 요청한다고 쳤을 때, DI 컨테이너는 매번 다른 객체를 새롭게 생성하게 됩니다. 하지만 고객 트래픽이 초당 100개 1000개씩 생성된다면 메모리 낭비가 심해질 것 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gof디자인 패턴에서 나오는 싱글톤(Singleton) 이라는 패턴이 나왔는데, 하나의 static 객체를 메모리에 띄우고 이를 재사용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 순수 자바의 싱글톤 패턴은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방법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는 ..

Languege/Java & Spring

[김영한 스프링] 스프링 컨테이너와 빈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과정 1.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ApplicationContext는 스프링 컨테이너라 합니다. 이것은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xml을 기반으로 만들 수도 있고 애노테이션 기반의 자바 설정 클래스로 만들 수 있습니다. AppConfig라는 java 파일을 기반으로 애노테이션 기반의 자바 설정 클래스로 컨테이너를 만들었습니다. 스프링 컨테이너를 부를 때 BeanFactory, ApplicationContext로 구분해서 이야기합니다. 2.스프링 빈 등록 이후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

Languege/Java & Spring

[김영한 스프링] 스프링 핵심 원리 이해

스프링 핵심 원리 이해에서는 예제를 만들고 객체 지향 원리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첫번째로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라는 순수한 자바코드를 작성하였고 이에 대한 코드는 인터페이스 뿐만 아니라 구현 객체도 의존하여 OCP, DIP 위반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왜냐하면 변경에는 닫혀있어야 하는 OCP와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되는 DIP를 위반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new MemberRepository(); 라는 인터페이스만을 의존하는 코드를 작성하였고 OCP와 DIP는 해결한 것 ..

Languege/Java & Spring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를 듣고 작성하였습니다. 객체 지향 특징 • 추상화 • 캡슐화 • 상속 • 다형성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명령어의 목록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여러개의 독립된 단위, 즉 "객체"들의 모임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각각의 객체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협력)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게 한다.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 • 레고 블럭 조립하듯이 • 키보드, 마우스 갈아 끼우듯이 • 컴퓨터 부품 갈아 끼우듯이 • 컴포넌트를 쉽고 유연하게 변경하면서 개발할 수 있는 방법 다형성을 실세계에 비유하자면 역할과 구분으로 나눌 수 있다. 위 그림에서 운전자(클라이언트)의 역할은 자..

mntdev
'김영한' 태그의 글 목록